가정예절 . 가정예절 1.가정예절의 의미 가정은 祖上으로부터 나에게로 이어졌고 나로부터 子孫에게로 물려지는 영원한 것이다. 가 정은 나라와 사회라는 거대한 조직을 이루는 가장작은 단위이며 사람들의 대인관계를 이루는 사회생활 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예절에는 기본예절과 개인예절등 여러관점들이 있..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
사돈관계의 정의 . 사돈관계의 정의 사돈(査頓)이란 서로 혼인한 남자와 여자측의 가족간을 말한다. 피와 살이 섞이지 않았기 때문에 분명히 남이지만 아들과 딸을 주고받은 특수한 관계에 있다. 그래서 사돈끼리도 혈친관계와 같이 세대(世代)의 위계가 분명해야 하고, 그 위계를 사행(査行)이라고 한다. 딸을 시집보낸..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
처가와 사위의 관계 . 처가와 사위의 관계 전통적인 한국 관습에 의해서 말하면 엄격한 의미에서 사위에게 어른은 아내의 직계의 직근존속인 장인과 장모에 국한된다. 그런 까닭으로 현행 민법에서의 법률적 효력이 있는 처가측 친족은 배우자의 부와 모라고 명시하고 있다. 때문에 처가에서도 사위를 '백년 손님'이라고 ..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
외가의 계촌과 관계명칭 . 외가의 계촌과 관계명칭 가) 외가의 계촌법 외가(外家)란 어머니의 친척을 말한다. 친족의 계촌이 자기에게서 아버지로 이어지듯이 외가의 계촌은 자기에게서 어머니를 매개로 하여 외가로 이어진다. 현행 민법에 의하면 외가로는 4촌까지만 친족으로서의 법적 효력이 있다. 나) 외가의 관계명칭 ① ..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
시댁의 계촌과 관계명칭 .시댁의 계촌과 관계명칭 가) 시댁의 계촌 시댁의 친족관계와 촌수는 남편의 계통과 촌수에 의한다. 즉 아무리 며느리가 나이가 많더라도 남편이 아랫사람이면 며느리도 아랫사람이고, 며느리의 나이가 적더라도 남편이 웃어른이면 그 아내인 며느리도 남편과 같이 웃어른이 된다. 나) 시댁과 며느리..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
.시댁의 계촌과 관계명칭 .시댁의 계촌과 관계명칭 가) 시댁의 계촌 시댁의 친족관계와 촌수는 남편의 계통과 촌수에 의한다. 즉 아무리 며느리가 나이가 많더라도 남편이 아랫사람이면 며느리도 아랫사람이고, 며느리의 나이가 적더라도 남편이 웃어른이면 그 아내인 며느리도 남편과 같이 웃어른이 된다. 나) 시댁과 며느리.. 카테고리 없음 2008.08.25
가정 예절 . 가정예절 1.가정예절의 의미 가정은 祖上으로부터 나에게로 이어졌고 나로부터 子孫에게로 물려지는 영원한 것이다. 가 정은 나라와 사회라는 거대한 조직을 이루는 가장작은 단위이며 사람들의 대인관계를 이루는 사회생활 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예절에는 기본예절과 개인예절등 여러관점들이 있.. 카테고리 없음 2008.08.25
촌수따지기 1.촌수 따지는 법 ① 직계가족과의 촌수(寸數)는 자기와 대상까지의 대수(代數)가 촌수이다. 즉 아버지와 아들은 1대(代)니까 1촌(寸)이고, 할아버지와 손자는 2대(代)니까 2촌(寸)이다. ② 방계가족과의 촌수(寸數)는 자기와 대상이 어떤조상 에게서 갈렸는지를 먼저 알고 자기와 그 조상의 대수에 그 조.. 카테고리 없음 2008.08.25
가정예절 가정예절 1.가정예절의 의미 가정은 祖上으로부터 나에게로 이어졌고 나로부터 子孫에게로 물려지는 영원한 것이다. 가 정은 나라와 사회라는 거대한 조직을 이루는 가장작은 단위이며 사람들의 대인관계를 이루는 사회생활 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예절에는 기본예절과 개인예절등 여러관점들이 있.. 카테고리 없음 2008.08.25
가정 예절 가정예절(家庭禮節) 1. 가정(家庭)과 가족(家族) 1) 가정의 의의 가. 가정은 영원하다 한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것을 가정의 탄생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그렇다면 그 부부가 갈라서면 가정이 없어진다고 이해할 수밖에 없으며,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가정을 상실하고 마는 결과가 된다. 가.. [가족 예절]/가족 호칭, 예절, 촌수 2008.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