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코드 읽는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0 K ohm |
![]() ![]() ![]() ![]() ![]() |
![]() ![]() ![]() ![]() |
![]() ![]() ![]() ![]() |
![]() ![]() ![]() ![]() |
|
* 저항에는 4칼라와 5칼라 그리고 주문형인 6칼라가있다. * 4칼라 보는 법은 1번띠 2번띠 승수 오차 순으로 읽는다. * 5칼라 보는 법은 1번띠 2번띠 3번띠 승수 오차 순으로 읽는다 * 보통 흔히 쓰는 것은 1/4W의 4칼라짜리가 보통이다. * 칼라 저항의 W는 크기에 따라 1/8W, 1/4W, 1/2W, 1W등이 있다. * 참고로 기판상에 점퍼 대용으로 0옴 의 저항도 있다. |
저항이란 무엇인가?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전자 부품이다.
회로에서 사용하는 기호는 으로 표현되고 저항 값의 단위는 오옴(Ω)이 사용된다..
단위가 1000씩 바뀔 때 마다 1000Ω은 1KΩ(킬로오옴), 1000 KΩ은 1MΩ(메가 오옴)이라고 부른다.
저항은 어떻게 분류하나?
저항은 크게 나누어, 저항값의 변화가 없는 고정 저항과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저항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료에 따라 탄소계와 금속계 저항으로 분류된다.
저항을 선정할 때 생각해야 할 포인트는?
사용할 저항을 선정할 때 생각해야 할 중요 포인트는 저항값, 정격전력, 정밀도이다.
정격전력이란?
정격전력이란 저항이 견딜 수 있는 소비전력(와트)을 말한다.
정격전력은 저항에 흐를 수 있는 전류의 제곱 (I2) × 저항값(R)의 식으로 구하게 된다.
저항은 열을 발생하는 소자이므로 정격을 넘어서 사용하면 저항이 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전자 회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정격으로는 1/8W, 1/4W, 1/2W 등이 있다.
전자 회로의 신호 회로(약전류) 에서는 1/8W나 1/4W저항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전원 회로, 발광 다이오드의 전류 제어용 등에서는 큰 전류가 흐르므로 정격전력을 계산해서 안전한 정격의 저항을 사용해야 한다.
저항이 일정한 간격이 아닌 저항값으로 제품이 제공 되는 이유는?
저항값의 표준은 JIS(일본공업규격) C5001의 규정에 의하여 E 표준 계열로 정해져 있다.
이것은 10을 대수적으로 분할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E3의 경우, 10을 3등분 하여 1, 2.2, 4.7, 10의 수치로 표시하고,
E6의 경 우는 1, 1.5, 2.2, 3.3, 4.7, 6.8, 10으로 표시되며,
E12는 1, 1.2, 1.5, 1.8, 2.2, 2.7, 3.3, 3.9, 4.7, 5.6, 6.8, 8.2, 10으로 표시 됩니다.
E계열은 위에서 예를 든 3, 6, 12 이외에 24, 48, 96, 192계열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계열은 E12 계열이다.
저항값의 표시는 숫자로 표시 하기에는 부품이 작기 때문에 컬러-코드를 이용 하고 있습니다. 1/2W이하의 저항 은 대부분 칼라 코드로 규격을 표시 하므로 컬러-코드의 읽는 법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항값 읽는 법과 오차
색띠저항의 저항값 읽는요령
힌트[색의 순서는 무지개색인 빨주노초파남보]에서 남색이 빠진 구성임.
'[..] > 전기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넥터 배열도 (0) | 2019.07.30 |
---|---|
미니 마이크로5핀 배열도 (0) | 2019.07.30 |